3D프린팅 이용 귀 재건술, 박호진 교수 혁신 주목

3D프린팅 한양3D팩토리

고대안암병원, 3D프린팅 기반 귀 재건 수술법 개발: 정밀 의료기술로 외형 복원과 자존감 회복 기대

고대안암병원의 박호진 교수가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귀 재건 수술에 획기적인 전환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는 선천성 기형이나 외상으로 인한 귀 결손에 대해 정밀한 외형 복원을 가능하게 하여, 기존 수술 기법의 한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치료 방향을 제시하였습니다.

전통적 귀 재건 수술의 어려움

소이증은 외이의 발달이 미비하거나 완전히 형성되지 않는 선천성 질환으로, 귀의 외형이 작거나 결손된 상태로 나타납니다. 기존의 귀 재건 수술은 환자의 가슴연골을 채취하여 수작업으로 조각하고, 이를 해당 부위에 이식하는 방식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의료진의 고도의 숙련도에 크게 의존하며, 미세한 주름이나 곡선 등 귀의 정밀한 형태를 정확하게 구현하기 어려웠습니다. 또한, 재료가 갖는 물리적 제약으로 인해 입체적 복원이 제한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고대안암병원 박호진 교수, 3D프린팅 기반 귀 재건 수술법 개발

기사 출처: 보건의료뉴스

3D프린팅 기술 도입의 의의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박호진 교수는 첨단 3D프린팅 기술을 수술에 접목하였습니다. 환자의 반대측 정상 귀를 CT 또는 3D 스캐너로 정밀하게 촬영한 뒤, 이를 디지털 모델로 변환하여 3D프린터로 출력함으로써, 연골 조형을 위한 정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였습니다.

이 방식은 귀의 주름, 깊이, 높낮이 등을 섬세하게 분석하여 반영함으로써, 좌우 균형이 맞는 입체적 형상을 보다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가이드라인은 수술 전 미리 시뮬레이션할 수 있어, 수술 결과에 대한 예측 가능성과 환자 맞춤형 접근이 가능해졌습니다.

한양3D팩토리

환자 중심 수술의 효과

개발된 수술법은 소이증 환자뿐 아니라 사고나 외상으로 인해 귀 일부가 손상된 환자에게도 적용되었습니다. 재현된 귀 모형은 환자의 외형적 만족도를 높이며, 심리적 안정감과 자존감 회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정확한 주름과 곡선을 구현함으로써, 재건된 귀는 자연스러운 외형과 유사한 기능적 구조를 가지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환자의 사회적 대인관계나 일상생활에서 자신감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향후 재건성형 수술 분야 전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마치며

3D프린팅 기술의 융합은 귀 재건 수술 분야에서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박호진 교수가 개발한 이번 수술법은 복잡하고 미세한 신체 구조를 정밀하게 복원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한 사례로, 재건성형 의료의 패러다임 전환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향후 다양한 형태의 신체 재건 수술에도 이와 같은 디지털 기술의 확대 적용이 기대됩니다.


3D프린팅 기술의 발전은 외형 복원 수술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한양3D팩토리와 함께 귀 재건 수술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첨단 기술의 도입을 고려하신다면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3D프린팅에는 역시 한양3D팩토리